로고 이미지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로고 이미지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롯데리아
  • 분류 전체보기 (128)
    • 사색 (39)
      • 인지과학적 사유 (12)
      • 자유분방한 사고 (11)
      • 순수한 생각 (3)
      • 짧은 생각 (12)
      • Break (1)
    • 경험 (27)
      • 에피소드 (26)
    • 비문학 (33)
      • 정규화제1단계 (16)
      • 정규화제2단계 (9)
      • 최적화제1단계 (7)
      • 최적화제2단계 (1)
    • 연구 (25)
      • 한탄 (2)
      • 페이퍼리뷰 (1)
      • 정보 (11)
      • 메타 (5)
    • 꿈 (2)
      • Wish2See (1)
      • Wish2Eat (1)
홈태그방명록롯데리아
  • 사색 39
    • 인지과학적 사유 12
    • 자유분방한 사고 11
    • 순수한 생각 3
    • 짧은 생각 12
    • Break 1
  • 경험 27
    • 에피소드 26
  • 비문학 33
    • 정규화제1단계 16
    • 정규화제2단계 9
    • 최적화제1단계 7
    • 최적화제2단계 1
  • 연구 25
    • 한탄 2
    • 페이퍼리뷰 1
    • 정보 11
    • 메타 5
  • 꿈 2
    • Wish2See 1
    • Wish2Eat 1

검색 레이어

로고 이미지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연구

  • The

    2023.02.21 by Aesthetic Thinker

  • 맥북 트랙패드 설정 추천

    2023.01.22 by Aesthetic Thinker

  • 통계학 공부 노트 [3편]

    2022.12.07 by Aesthetic Thinker

  • 논문 블라인드 규정: 내가 썼던 논문을 인용 시

    2022.11.18 by Aesthetic Thinker

  • 통계학 공부 노트 [2편]

    2022.11.03 by Aesthetic Thinker

  • 오버헤드와 Trade-off

    2022.10.02 by Aesthetic Thinker

  • 6하원칙과 논문의 구성

    2022.10.02 by Aesthetic Thinker

  • 통계학 공부노트 [1편]

    2022.09.29 by Aesthetic Thinker

The

논문쓸때 제일 거슬리는 녀석이 the 이다. 대체 언제 붙고 언제 빠져야 하는 것일까? 하지만 대규모 언어모델 님께서는 매우 잘 붙여주신다. 어찌되었건 규칙과 패턴이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타언어 사용자의 브레인으로 파악하기엔 너무나 어려운걸? 분명 읽기 할때는 이 the가 안 거슬리고 자연스럽게 찹찹 붙는데 쓰기 할때는 the의 행방이 묘연해진다. 그러니까 이런 식이다. 1. 문장을 쓰는데 the가 하나도 없이 쓰고 있음 2. the 가 없을리가 없는데? 하고 각종 명사 앞에 the를 붙여주기 시작함 3. 그런데 the가 너무 많은거 아닌가? 하면서 혼돈이 오기 시작 4. 주욱 읽어보면 더더더... 거려서 좀 뺐더니 나중에 알고보면 있어야 할 the를 뺐음 5. 그리고 또 없어야 할 곳에 the가 붙어..

연구/한탄 2023. 2. 21. 15:03

맥북 트랙패드 설정 추천

맥북을 쓰다보면 일반 노트북 보다 좋은 점으로 트랙패드를 꼽을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트랙패드여도 개인적으로 마우스보다는 불편하다. 가장 크게는 트랙패드를 쓰다보면 손과 손목이 금방 지친다는 것! 하지만 설정을 조금 신경써주면 트랙패드에 들어가는 힘을 조금 덜 수도 있다. command + space 키를 눌러 검색창을 띄우고 '트랙패드'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설정 창이 뜬다. 위처럼 '이동 속도'를 조금 더 빠르게, '클릭'을 가볍게 설정해주면 트랙패드를 좀더 적은 힘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같은 동작을 하는데도 손의 이동량과 클릭에 소요되는 힘을 줄여주니 조금 더 오래 맥북을 쓸 수 있다. 이상 경험에 의거한 맥북 트랙패드 꿀팁 끝~

연구/정보 2023. 1. 22. 01:26

통계학 공부 노트 [3편]

Simple Linear Regression Line fitting Least Squares Regression Residuals (잔차) Observed - Predicted Best fit - L1: 잔차의 절대합 (absolute sum)이 최소가 되는 선 - L2: 잔차의 제곱합 (squared sum)이 최소가 되는 선 == least squares Covariance (공분산) 분산: 편차 제곱의 평균 공분산: 공편차의 평균 (둘이 곱해졌으므로 제곱하지 않음) Slope & Intercept Slope (기울기): β1 Intercept (y절편): β0 Residual & Standard Error SS(Error) = SS(Residual) Standard error = SE(Error) ..

연구/정보 2022. 12. 7. 22:00

논문 블라인드 규정: 내가 썼던 논문을 인용 시

논문 포맷을 가져와 해당 학회의 블라인드 규정을 읽던 중 재미있는 구절을 발견했다. 익명성이 요구되는 학회에서는 리뷰어들이 내가 누구인지 모르게 하기 위해 저자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런데 논문 인용 시 내가 이전에 썼던 논문을 인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이럴 때 익명성 보장을 위해 그 논문의 저자 이름을 "Anonymous"로 표기한다면 어떨까? 그 논문은 이미 공개되어 있으므로, 당연히 찾아보면 누가 썼는지 알 수 있고, 결국 읽고 있는 논문의 저자도 알 수 있다! 이건 마치 아무도 안 물어봤는데 "내가 안 먹었어" 하는 꼴이다. 어차피 리뷰어는 그 논문이 읽고 있는 논문의 저자가 쓴 건지 알 길이 없으므로, 인용할 논문의 저자가 자기 자신이어도 3인칭 이름으로 표기하는 것이 맞다.

연구/정보 2022. 11. 18. 04:40

통계학 공부 노트 [2편]

본 범위에서는 지난 t-검정에 이어 다양한 용도의 검정 방법을 다룬다. 목차 Wilcoxon test (Mann-Whitney U test) Wilcoxon signed-rank test ANOVA test Repeated Measure ANOVA test Kruskal-Wallis test Friedman test Two-way ANOVA test Two-way Repeated Measure ANOVA test Mixed ANOVA test Chi-Square test 모수/비모수 및 독립/연관 표본에 따른 검정 방법과 해당 방법이 따르는 분포 정리 Wilcoxon test (Mann-Whitney U test) A, B 집단 각각의 값에 순위를 매긴 후 다음을 계산한다. Wilcoxon signed-..

연구/정보 2022. 11. 3. 00:55

오버헤드와 Trade-off

오버헤드(간접비)와 Trade-off (상충관계) 머리에서 두 단어가 뒤집힌 건지, 한 단어가 생각나면 다른 한쪽 단어가 생각이 안나서 박제해 둔다. 적는 김에 뜻도 적어둔다. 오버헤드는 분산시스템에서 자주 쓰이는 용어인데 분산시스템을 운용하는 데에서 오는 비용을 말한다. 분산시스템의 목적이 연산시간비용을 줄이고자 하는 것인데 분산시스템 구축 이전에는 없었던 통신비용과 같은 추가시간비용(오버헤드)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 최적 분산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더 나은 삶을 위해 연구를 하는데 그 연구비를 위해 내는 세금 때문에 사람들이 더 가난해진다면 오버헤드가 큰 것이다. Trade-off는 인플레이션과 실업률같은 것인데, 인플레이션을 잡으면 실업률이 안잡히고, 실업률을 잡으면 인플레이션은 안잡히..

연구/정보 2022. 10. 2. 19:41

6하원칙과 논문의 구성

개인적인 생각이다.

연구/정보 2022. 10. 2. 16:17

통계학 공부노트 [1편]

내일 시험인데 통계 노트나 설명식으로 정리해보려고 한다. 최고의 공부는 설명하기라구요~ 공부하면서 들은 플레이리스트 이번 범위 목차는 다음과 같다. - 측정 - 분포 - 확률 - 추출 - 통계학적 유의미성 - 가설 검정 - 표본평균 - t-검정을 이용한 모집단 평균 추정 - 두 독립집단에 대한 t-검정 - 두 연관집단에 대한 t-검정 한국인은 기본적으로 잘 정립된 이론 공부를 할 때 영문과 국문을 짝지어 외워야 하는 가중부담이 있다. 헷갈리지 않도록 용어는 짝지어 숙지하자. + 영미권에서 정립된 이론이기 때문에 번역과정에서 파생된 동의어들이 있을 수 있어 이 또한 유의하자. 데이터 형식의 4가지 - Numerical continuous (수치형 연속) e.g. 1부터 5까지의 실수 [일치/불일치 대/소 ..

연구/정보 2022. 9. 29. 06:54

추가 정보

반응형

최신글

인기글

의문스러운 그래프

페이징

이전
1 2 3 4
다음
McDonalds
푸터 로고 © Aesthetic Thinker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

개인정보

  • 티스토리 홈
  • 포럼
  • 로그인

단축키

내 블로그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Q
Q
새 글 쓰기
W
W

블로그 게시글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E
E
댓글 영역으로 이동
C
C

모든 영역

이 페이지의 URL 복사
S
S
맨 위로 이동
T
T
티스토리 홈 이동
H
H
단축키 안내
Shift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