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글
-
리눅스 (우분투) 파일을 삭제해도 용량이 늘지 않을 때
df -h 위의 명령어를 써서 확인해보면 용량이 꽉 찬 경우가 있다. 이에 몇몇 파일을 삭제했지만 용량이 그대로 메모리를 차지하고 있다면 골치가 아프다. 가장 먼저 체크해봐야 할 것은 휴지통이다. 필자의 경우 여기에 당해서 reboot까지 시도해가면서 삽질을 했다. 혹시 주피터 노트북을 사용해서 파일을 삭제했는가? rm 명령어를 사용해서 파일을 삭제하지 않으면 파일은 휴지통에 들어가게 된다. 휴지통에 파일이 남아있으므로 당연히 용량에는 변화가 없다. 휴지통 비우기를 꼭 진행해 주도록 하자. ssh를 사용 중이라면, 다음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휴지통을 비운다. rm -rf ~/.local/share/Trash/files/* 만약 rm 명령어를 사용했는데도 용량이 그대로라면, 해당 파일과 연결된 프로세스가 종..
2021.10.14 16:10 -
Python 내에서 GPU 메모리 확인하는 법
소위 말해 python 안에서 nvidia-smi 를 수행하는 방법이다. pip install nvidia-ml-py3 위 패키지를 설치하고 아래와 같이 패키지를 불러와 사용한다. import nvidia_smi nvidia_smi.nvmlInit() deviceCount = nvidia_smi.nvmlDeviceGetCount() freem = [] for i in range(deviceCount): handle = nvidia_smi.nvmlDeviceGetHandleByIndex(i) info = nvidia_smi.nvmlDeviceGetMemoryInfo(handle) freem.append(100*info.free/info.total) nvidia_smi.nvmlShutdown() 이제 fre..
2022.03.22 01:23 -
Insert 키의 쓸모
서류작업을 많이 하시는 분들은 그 용도를 잘 아실 거라 생각되지만 Insert 키는 나에게 그저 방해물이었다. Num Lock 키가 해제된 체 0을 누르면 Insert 키가 작동되어 문서가 녹는다든가, Delete 키를 누르다가 실수로 Insert 키를 한 번 눌러놓은 채로 있다가 문서가 녹는다든가 하는 일이 종종 있었다. 그래서 Insert 키에 대한 불만이 있었던 나.. 도대체 왜 있는 거지? 불평만 하다가 서류작업을 하다보니 드디어 쓸모를 알아차리게 되었다. 그것은 양식이 있는 서류에 내용을 기입할 때다. 프린팅 되어있는 양식엔 밑줄 위에 펜으로 이름을 적곤 하는데 컴퓨터로 기입해야 할 때는 예쁘게 되어있던 양식이 한 스페이스씩 밀려서 한 글자씩 쓰고 지우고 해야 한다. 그런데 이때 문득 Inser..
2021.12.15 22:43 -
Synthetic Returns for Long-Term Credit Assignment 핵심 리뷰
DeepMind에서 오늘 알람이 떠서 알게된 따끈따끈한 논문입니다. 한달 전인 2월 24일에 아카이브에 올라왔더군요. 논문링크: arxiv.org/abs/2102.12425 본 논문은 강화학습의 원초적 이슈인 Long-term credit assignment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다룹니다. *Long-term credit assignment: Delayed reward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말합니다. 에이전트가 어떠한 적절한 행동을 취하여 desirable한 상태를 얻었음에도, 그에 대한 보상이 한참 후에 주어진다면 적절한 행동을 강화하는 데 장애가 됩니다. 설령 그 적절한 행동이 작업을 성공하는 정말 결정적인 행동이었다 하더라도, 해당 행동에 높은 기여도를 부여(credit assignment)하..
2021.03.24 17:59 -
역전파 알고리즘의 생물학적 타당성
현재 인공신경망의 주류 학습 알고리즘은 오류 역전파 (backprop) 방식에 의존하고 있다. 해당 알고리즘의 성능이 탁월하다는 것은 다양한 분야에서 이미 입증되었다. 인공신경망은 뇌의 뉴런들의 연결 구조에서 영감을 받아 만든 구조이다. 즉 bio-inspired하다. 그런데 이 bio-inspired한 구조를 학습하는 주류 방법인 backprop 방법은 bio-inspired가 아니다. 하지만 bio-inspired가 아니어도 biologically plausible(생물학적으로 설명 가능)할 수도 있다. 과연 이 backprop 방법이 biologically plausible할까? 즉 실제 우리 뇌에서 실현이 가능할까? 결론은 간접적으로 타당하다. 한번 살펴보도록 하자. 본 글에서는 feedback ..
2021.02.02 05:48